1. 웹 표준
1-1. 웹 표준이란 ?
- 웹 개발 형식을 통일시킨 것으로서, 웹에서 표준적으로 사용되는 기술이나 규칙을 일컫는다.
- 운영체제 및 브라우저 종류에 상관없이 동일하게 웹 페이지가 작동되고 구현되도록 만드는 제작 기법.
웹 표준의 장점
- 유지 보수의 용이성
- 웹 호환성 확보
- 검색 효율성 증대
- 웹 접근성 향상
1-2. Semantic HTML
웹 표준에서는 개발자 간 소통, 검색 효율성, 웹 접근성의 이유로 Semantic HTML의 중요성을 강조
시맨틱 요소의 종류
- <header>
- <nav>
- <aside>
- <main>
- <article>
- <section>
- <hgroup>
- <footer>
1-3. 크로스 브라우징
- 웹 브라우저의 종류에 상관없이 동등한 화면과 기능을 제공하도록 만드는 작업.
- 웹 표준만 잘 준수하여도 어느정도 크로스 브라우징을 실현하게 된다.
크로스 브라우징 워크 플로우
- 초기 기획
- 개발
- 테스트/발견
- 수정/반복
1-4. SEO(Search Engine Optimization, 검색 엔진 최적화)
- 검색 엔진의 작동 방식에 맞게 웹 페이지를 최적화시켜주는 작업.
- 검색 엔진에서 웹 페이지를 보다 상위에 노출시켜줄 수 있다.
- 종류는 On-page SEO, Off-page SEO로 구분됨.
SEO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
- <title> : 검색 결과창에서 제목에 해당, <head>의 자식 요소로 작성하기
- <meta> : 메타 데이터(해당 웹 페이지에서 다루는 데이터)를 담는 요소, <head>의 자식 요소로 작성하기
- <hgroup> : 콘텐츠의 제목을 표시.
- <콘텐츠>
2. 웹 접근성
2-1. 웹 접근성이란?
- 상황이나 장애 여부 등에 상관없이 누구나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(장애인, 고령자, 비장애인 모두 포함)
- 웹 접근성 충족 시, 이로운 점 :
- 사용자층 확대
- 다양한 환경 지원
- 사회적 이미지 향상
2-2.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 2.1
I. 인식의 용이성(Perceivable) : 모든 콘텐츠는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어야 한다.
- 적절한 대체 텍스트
- 자막 제공
- 색에 무관한 콘텐츠 인식
- 명확한 지시사항 제공
- 텍스트 콘텐츠 명도 대비
- 자동 재생 금지
- 콘텐츠 간 구분
II. 운용의 용이성(Operable)
- 키보드 사용 보장
- 초점 이동
- 조작 가능
- 응답 시간 조절
- 정지 기능 제공
- 깜빡임과 번쩍임 사용 제한
- 반복 영역 건너뛰기
- 제목 제공
- 적절한 링크 텍스트
III. 이해의 용이성(Understandable)
- 기본 언어 표시
- 사용자 요구에 따른 실행
- 콘텐츠 선형 구조 : 콘텐츠는 논리적인 순서로 제공해야 함
- 표의 구성 : 표는 이해하기 쉽게 구성해야 한다.
- 레이블 제공
- 오류 정정
IV. 견고성(Robust)
- 마크업 오류 방지
- 웹 애플리케이션 접근성 준수
2-3. WAI-ARIA
- = WAI + ARIA
- WAI(Web Accessibility initiative) : 웹 표준을 정하는 W3C에서 웹 접근성을 담당하는 기관
- ARIA(Accessible Rich Internet Application) : 웹 접근성을 갖추기 위한 기술
WAI-ARIA가 필요한 이유
- HTML 요소에 추가적으로 의미를 부여할 수 있게 해줌
- (단, 시맨틱 요소만으로 충분히 의미를 부여할 수 없는 상황에서만 보조적으로 사용해야 한다)
- SPA처럼 AJAX를 사용하는 상황, 즉 새로고침없이 페이지 내용이 바뀌어도 변경된 영역에 대한 정보 전달이 가능하다.
WAI-ARIA 사용법
- HTML 태그 내부에 속성을 추가함으로써 의미 부여 가능
- 속성의 종류 :
- 역할(role) : HTML 요소의 역할을 정의.
- 예시
<div role = “button”> 버튼 < /div>
- 상태(state) : 요소의 현재 상태를 나타냄.
- aria-expanded : 아코디언 UI가 펼쳐진 상태인지 표시
- aria-hidden : 요소가 숨김 상태인지 표시
- aria-selected : 선택 상태인 요소를 표시
- 속성(property) : 요소의 특징을 정의함.
- aria-label
- aria-live
- 역할(role) : HTML 요소의 역할을 정의.
'코딩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HTML/CSS] 브라우저/반응형 웹 (0) | 2022.07.23 |
---|---|
[Section 3] 모의 기술면접 준비 자료 (0) | 2022.07.20 |
Redux (0) | 2022.07.07 |
[React] Custom Component (0) | 2022.06.30 |
[React] Styled Components 실습 (0) | 2022.06.30 |